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콜렉션 F/F-3. 주요이슈편

국내증시, 미국증시 브리핑F. 산타랠리 vs. 베어마켓

by Stock Reportings 2022. 12. 19.
728x90
반응형

국내증시, 미국증시 현 시황분석

미국시장에서 연이어 발표되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FOMC회의 결과에 따라 올해 연말 주식시장에 상승기류가 나타날지 여러 방면에서의 추측들이 난무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플레이션 조절 목적으로의 기준금리 인상속도 및 금리인하로의 추세전환 가능성에 대한 정보들이 이번 산타랠리 혹은 베어마켓 진행여부를 결정지을 중요한 요인입니다.

 

반응형

기준금리, 변동추이 분석

2022년도 올해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변동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기준금리, 미국

03월 17일; 0.50%
05월 05일; 1.00% (50bp 인상)
06월 16일; 1.75% (75bp 인상) ※금리인상폭 증가 (인플레이션 발생 우려감 상승)
07월 28일; 2.50% (75bp 인상)
09월 22일; 3.25% (75bp 인상)
11월 03일; 4.00% (75bp 인상)
12월 15일; 4.50% (50bp 인상) ※금리인상폭 감소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 상승)


기준금리, 한국

01월 14일; 1.25%
04월 14일; 1.50% (25bp 인상)
05월 26일; 1.75% (25bp 인상)
07월 13일; 2.25% (50bp 인상) ※금리인상폭 증가 (인플레이션 발생 우려감 상승)
08월 25일; 2.50% (25bp 인상)
10월 12일; 3.00% (50bp 인상)
11월 24일; 3.25% (25bp 인상) ※금리인상폭 감소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 상승)

 

05월, 06월 기간에는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1.75%로 동일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금리인상이 연달아 발표되면서 한국금리와 미국금리의 격차는 날로 증가하여 현재 1.25%입니다. 미국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만큼 국내증시 측면에서는 외국인이나 외국기업들의 투자심리가 꺾여 해외로부터의 자본금 유입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처럼 거래량이 급속히 감소하면 국내증시가 침체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미국증시, FOMC 점도표 분석

점도표란 FOMC 구성원들이 판단하기에 적정수준의 기준금리값을 수치화한 그래프로써, 올해 뿐만 아니라 다가오는 다음 해 2023년도 주식시장의 추이를 예측하는 데 큰 영향력을 가지는 정보입니다.

점도표에 공지된 적정 기준금리 인상률은 5.00 ~5.25%이었고, 중간값으로 비교해보면 기존 4.60%보다 0.50% 높은 5.10%임이 확인되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비둘기적 발언들에 근거하여, 긴축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미국현지의 금리인상 가속화가 감소되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었습니다. 표면적으로 틀린 말은 아니지만, 최근 매파적 발언들의 영향으로 금리인하 시기가 늦어지고, 심지어 최종금리가 더 높아지는 것을 배제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주식시장에 대한 심리지수가 대폭 감소하여 업종이나 테마 혹은 개별종목의 호재이슈들이 전혀 반영되지 못하는 시장이라는 점에서 실망매물이 출현할 확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현 시점에서 산타랠리보다는 베어마켓 쪽으로 시장흐름이 기울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약세장에서의 횡보장이 계속될 수 있다는 이견 또한 등장하고 있습니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미국시장에서 발표되는 여러 경제지표들 바탕으로 국내시장을 예측하려는 사람들, 기업들이 많습니다. 각 지표마다의 국내에 미치는 시장영향력을 평가하려는 다방면의 정보들에 대해 모두 신뢰하기 이전에 경계하려는 태도가 우선입니다. 시장의 방향성에 호재 혹은 악재와 같은 대외적이슈가 비례적으로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과, 즉 예상치 못한 변수들이 많이 혼재되어 있음에 주의를 기울이고 급변하는 시장에 대응하도록 미리 구상해 놓은 자신만의 매매전략이 필요합니다.

 

주식용어, 차트분석, 파동이론, 매매전략 관련하여 순차적으로 잘 정리되어 있으니 아래 링크를 통해 많이 참고바랍니다.

[주식공부 모음집 (링크연결)] - 주식공부, 주식용어 하나부터 열까지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