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공부, 주식용어 이해하기
지금까지 다방면으로의 증시분석을 통해 주식시장에 적응하고, 투자자로써 효율적인 매매전략을 구상하기 위해 시장경제, 재무제표, 주식매매, 주가변동, 기업이슈, 배당지급, 주식거래, 투자기법, 종목분석, 경제지표, 뉴스용어, 상단지표, 하단지표(1편, 2편, 3편), 차트분석(1편, 2편, 3편)에 대해 순차적으로 숙지하였습니다. 학습된 내용들에 근거하여 주식투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및 단기적 혹은 중장기적 트레이딩 방법의 실전 응용력을 높였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더 근본적인 차원에서 주식시장의 흐름을 수리물리적으로 이해하려는 목적으로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선별하였습니다.

주식공부, 엘리어트 파동이론
엘리어트 파동은 상승국면과 하락국면으로 분류되고,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된 상승5파와 3개의 파동이 연결된 하락3파를 포함합니다.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그림처럼 1~5파동, A~C파동 모두 하나의 직선으로 간략히 표현하였을 뿐, 실제로는 각 파동에 보다 작은 주기의 엘리어트 파동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절대불가침 법칙
※ 바닥권보다 2파동의 끝점위치가 낮은 경우에는 상승추세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 상승방향으로의 1파동, 3파동, 5파동 가운데 3파동의 길이가 가장 짧은 경우에는 파동이론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1파동과 4파동의 끝점위치가 서로 중첩되는 경우에도 파동이론이 적용될 수 없습니다.
※ 일반적으로, 3파동의 길이가 가장 길게 형성됩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피보나치 비율 적용
※ 2파동의 경우, 1파동의 고점으로부터 38.2% 혹은 61.8% 만큼을 되돌리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 3파동의 경우, 1파동의 시작점에서 고점까지 수직높이의 1.618배 만큼의 수직높이로 계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4파동의 경우, 3파동의 고점보다 38.2% 낮은 지점까지 확률적으로 하락합니다.
※ 5파동의 경우, 1파동의 수직높이와 동일하거나 1파동 시작점과 3파동 고점까지 수직높이의 61.8% 만큼의 비율로 상승합니다.
※ B파동의 경우, A파동에서의 하락분에 대해 38.2% 혹은 61.8% 반등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주식공부, 엘리어트 파동적용
이처럼 주가흐름을 파동이론으로 분석하면, 상승 혹은 하락 방향으로의 모멘텀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집니다. 특히, 바닥권에서 상승1파가 강하게 발생하는 경우, 연이어 상승하려는 추세가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되며, 단기간 주가목표치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기적 트레이딩 관점에서 10분봉 이내의 차트에 적용하기에 유용합니다.
목표치 = z + (y – x)
거래량 측면에서 매수세가 소폭 증가하여 상승추세를 유지하고, 1파동 상승분과 3파동 상승분이 동일한 경우입니다.
목표치 = y + (y – x)
호가창에서 매수, 매도 거래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시점이고, 박스권이거나 패턴구간을 돌파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목표치 = z + (z – x)
호가창에서 매수, 매도 거래량의 전환속도가 점차 감소하는 시점으로, 특정 저항대에 도달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패턴입니다.

다음으로 “F-1. 증시기록편(매일 업데이트 예정입니다.)”을 포스팅할 예정이니, 많이 참고바랍니다.
TO BE CONTINUED... ...
댓글